소개
2014년11월하순, 등록지가 맨섬과 홍콩으로 된 Realcoin는 Tether로 회사명을 변경하였다. 2015년2월에 출시와 동시에 바로 강한 권세를 잡았다. 당시 비트코인 선물 거래량이 가장 큰 거래 플랫폼인 bitfinex가 Tether코인(USDT)거래를 서포트 한다고 했다. 그 후 이어서 알트코인 거래 플랫폼 Poloniex거래소에서도 USDT를 서포트 한다고 했다. P 네트워크는 이더코인의 강세를 의존하여 급부상을 하고 있으며 알트코인 거래 플랫폼 사이에 넌지시 우두머리 자리에 위치하여 USDT의 거래량도 따라서 주목을 받았다. USDT의 발행 및 거래는 Omni (전 Mastercoin)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게다가 Omni 코인은 시중에서 첫번째로 비트코인 블록체인 기반으로 둔 2.0 화폐종류라고 말할 수 있다. 그래서 USDT의 거래 확인 등 파라미터는 비트코인과 똑같다. Tether의 CTO 및 공동 설립자 Craig Sellars는 이렇게 말했다. 사용자는 SWIFT T/T 방식으로 달러를 Tether 회사가 제공한 은행계좌로 송금할 수 있다. 혹은 Bitfinex 거래를 통해서 USDT를 바꿀 수 있다. 달러를 되찾을 시는 오퍼레이션 트위스트로 하면 된다. 사용자는 위에서 언급했던 두개의 웹사이트에서 비트코인으로 USDT를 바꿀 수 있다. 그 웹사이트에서는 엄격하게 1:1 비축금 보증을 준수한다고 주장했다. 즉 1개의 USDT 토큰을 발행 할 때 마다 그의 은행계좌에서는 1달러의 자금 확보가 있을 것이다. 준법에 따르면 모든 법적 통화와 관련된 거래는 사용자가 KYC 인증을 받아야만 할 수 있다고 요구되어 있다. 사용자가 어떻게 은행 계좌에 있는 보증금을 입증하는지 질문을 하자 Craig가 법적 통화는 Tether Liminted 회사에서 보관하고 있으며 정기적인 회계감사도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지금까지 사용자는 아직 스스로 직접 보증금을 조회해 볼 수는 없다. 현재 USDT의 거래량은 모든 안정적인 가장화폐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기본 정보
백서와 커뮤니티 링크